‘4월’ 하면 따뜻한 날씨와 꽃놀이가 먼저 생각나지만, 봄철 피로 관리와 미세먼지 대책 등 건강에도 신경 써야 하는 시기이다.
맛과 영양이 풍부한 제철 식재료를 섭취하는 것도 좋은 건강 관리법이 될 것이다. 농촌진흥청이 선정한 4월 제철 식재료를 알아보자.
천연 해독제 ‘녹두’
녹두는 ‘100가지 독을 치유하는 천연 해독제’로 불리며 우리나라 잔치 음식에서 빠지지 않는 식재료이다.
예로부터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삼짇날(음력 3월 3일)에는 절기 음식으로 녹두가루를 진달래꽃과 섞어 반죽해 국수를 만든 후 꿀물이나 오미자물에 넣어 먹는 화면(花?) 또는 수면(水麵)을 즐겼다.
녹두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곡물의 전분을 일컫는 ‘녹말’도 녹두에서 비롯됐다.
녹두는 칼슘 함량이 매우 높으며 인, 철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B1, B2, 비타민 E, 비타민 K가 풍부하고 필수아미노산과 불포화 지방산도 많이 들어있다. 변비, 당뇨, 고혈압의 예방 관리 및 더위를 먹었을 때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 농촌진흥청>
토종 허브 ‘머위순’
머위순은 쌉싸름하면서도 독특한 향을 지녀 ‘토종허브’로 불리며 봄철 입맛을 살리는데 제격인 계절 채소이다.
머위순의 쓴맛을 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특유의 방향성 정유 성분은 소화 촉진, 식욕 증진, 거담 작용을 하고 노인이나 회복기 환자의 마른기침, 가래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머위순은 이른 봄부터 4월까지가 가장 향긋하고 맛이 좋다. 머위순을 고를 때는 잎이 시들지 않고 줄기가 단단하면서도 대가 곧게 뻗은 것이 좋다.
머위순은 데친 후 무치거나 볶아서 나물로 먹고 어린 꽃은 튀겨 먹는다. 잎은 쌈이나 장아찌로 먹고, 뿌리는 차나 즙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보양 식재료 ‘오리고기’
오리고기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을 많이 함유해 성장 발달과 기력 회복에 도움이 되는 보양 식재료이다. 오리고기는 11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가 맛이 좋고 파, 미나리와도 잘 어울린다.
오리고기는 비타민 A의 함량이 높고 비타민 B1, B2, 칼륨 등을 함유하고 있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을 보면 고혈압, 신경통, 동맥경화 등 순환기 질환과 비만증, 허약체질, 병후회복, 위장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돼 있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