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가이드

메뉴 전체보기

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건강마당

  • 건강뉴스
  • 전문의 칼럼
  • 쥬니어건강
  • 복약정보
  • 영양정보
  • 간단한 응급처치
  • 건강정보
  • 간단한 자가진단
  • 내게 맞는 검진찾기

쥬니어건강

성가롤로병원은 최선을 다합니다. 환자를 위해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 home
  • 건강마당
  • 쥬니어건강
게시판 뷰페이지
뷰페이지
제목 자신을 갉아먹는 '착한 아이 콤플렉스'
작성일 2018-08-16 오전 8:06:28  [ 조회수 : 1625 ]
착한아이콤플렉스

착한아이콤플렉스의 정의

착한아이콤플렉스의 문제점

착한아이콤플렉스 테스트

착한아이콤플렉스 극복하기 (1)

착한아이콤플렉스 극복하기 (2)

착한아이콤플렉스로 힘든 사람에게 위로가 되는 말

▲ 착한 아이 콤플렉스란?
“상대방에게 버림받고 싶지 않거나, 사랑받고 싶을 때 나타나는 관계 중심적 행동. 스스로 모든 것을 감수하고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일종의 자기주장 결핍증”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상담코칭학 권수영 교수 -

▲ 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문제점
- 착하게 굴지 않으면 사랑을 받지 못하고, 버림받을 것이라는 믿음에 따라 남의 눈치를 보고 타인의 요구에 순응한다.
- 다른 사람의 영향을 너무 많이 받아 심하면 타인의 판단·관점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
- 타인과 갈등이 생긴 상황에서도 타인의 요구에 순응해버린다.
- 자신의 욕구가 억눌려 있어서 위축감, 무기력증, 우울증, 불면증, 신경증 등에 시달린다.
- 자아를 잃고 소극적인 삶을 살거나 극단적으로 파괴적인 행동을 할 위험이 크다.

▲ 착한 아이 콤플렉스 테스트
1. 의사결정을 할 때 주로 다른 사람의 의견에 따른다.
2. 부탁을 제대로 못 들어주면 미안한 마음이 든다.
3. 모든 사람을 믿을 만하다고 여긴다.
4. 나쁜 기분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5. 쉽게 상처받는다.
6. 상대방이 화를 내면 대처를 못 한다.
7. 눈치를 많이 본다.
8. 할 말을 못 해서 답답하다.
9. 항상 손해 보는 느낌이 든다.

9가지 항목 중 5개 이상에 해당되면 착한 아이 콤플렉스를 의심해볼 수 있다.
- EBS, 나는 어쩌다가 '예스맨'이 되었을까? -

▲ 착한 아이 콤플렉스 극복하기
- 믿을만한 사람에게 속마음 털어놓기
이 자체만으로도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 ‘거절’에 익숙해지기
타당한 이유로 거절 의사를 분명히 밝히는 데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생각보다 상대방은 당신의 거절에 쉽게 수긍할 수 있으며, 사실 그렇지 않다고 해도 당신이 손해 볼 필요는 없다.

- 자신이 원하는 것, 자신의 감정 바로 알기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몰라 남의 기준에만 맞추게 될 수도 있다. 남보다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므로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먼저 귀 기울이자.

- 자기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
자기 생각과 감정을 파악한 후에는 이를 남에게 표현할 줄도 알아야 한다. 표현하지 않으면 누구도 알아차릴 수 없기 때문이다.

- 자기 계발 등 자신을 위해 더 노력하기
타인보다 자신을 중심으로 살기 위해서는 하고 싶은 일을 계획하고 이를 실천하는 일에 좀 더 무게를 둘 필요가 있다.

- 인정욕구의 노예가 되지 않기
인정욕구가 클수록 남의 기준에 들기 위해 자존감은 더 낮아지고 마음은 불안해진다.

- 전문가의 도움 받기
전문가들은 객관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제시하고, 필요 시 약물·상담 등 다양한 치료법으로 당신을 도울 수 있다.

▲ 착한 아이 콤플렉스로 힘든 사람에게 위로가 되는 말
1. 다른 사람은 너에게 그렇게 큰 관심이 없어.
2. 도대체 누굴 위해 살아가는 거지? 먼저 너 자신부터 챙겨.
3. 더 이상 착하지 않아도 돼. 착하다는 게 꼭 좋은 것만은 아니야. 대신 똑똑하고 지혜로워지자.
4. 엄마가, 아빠가, 가족이, 친구가 너의 인생을 대신 살아주지는 않아.
5. 인생에 한 번은 진짜 원하는 걸 해봐도 괜찮아. 누구누구 때문에 못 한다는 것만큼 구차한 건 없어.
6. 그만 자책하렴. 자책은 우울과 불안의 친구란다. 우리 그런 친구들하고 안 놀 때도 됐잖아.
7.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건 ‘너’라는 거야.
- 성남발달가족심리지원센터 -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

목록  인쇄
   
다음글 어릴 때 간접흡연에 노출, ‘폐성 사망’ 위험 증가
이전글 아이가 편식한다면? 과채 그려져 있는 식판 사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