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가이드

메뉴 전체보기

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건강마당

  • 건강뉴스
  • 전문의 칼럼
  • 쥬니어건강
  • 복약정보
  • 영양정보
  • 간단한 응급처치
  • 건강정보
  • 간단한 자가진단
  • 내게 맞는 검진찾기

전문의 칼럼

성가롤로병원은 최선을 다합니다. 환자를 위해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 home
  • 건강마당
  • 전문의 칼럼
게시판 뷰페이지
뷰페이지
제목 방사선종양학의 원리 2
작성일 2014-03-17 오전 11:42:42  [ 조회수 : 4622 ]
작성자 나병식 과장
담당과 방사선종양학과

방사선종양학의 원리2 

 

방사선종양학의 원리Ⅱ

성가롤로병원 암센터 소장ㆍ방사선종양학과장 / 나병식

 

1. 방사선 감수성(민감도) : Bergonie & Tribondeau의 법칙

- 세포의 분열빈도(Reproductivity)가 클수록

- 세포의 분열기간(mitotic phase)이 길수록

- 형태학적 및 기능학적으로 미분화(undifferentiation) 세포 일수록

  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이 커진다.

 

 1) 방사선에 민감한 종양(Radiosensitive tumor)

 - germ cell origin tumor : dysgerminoma, seminoma

 - hematopoietic origin tumor : leukemia, lymphoma

 2) 방사선에 저항이 센 종양(Radioresistant tumor)

 - nervous system : neurilemmoma

 - usculoskelectal system : osteosarcoma, rhabdomyosarcoma

 

2. 치료효율(Therapeutic Ratio)

    TR > 1 근치율이 높다

 

3. 정상조직의 내선량 (Tolerance Dose)

 1) TD 5/5(minimal tolerance dose)

    최적의 방사선치료 후 5년 이내에 5%의 중증부작용을 유발시키는 선량

 2) TD 50/5 (maximal tolerance dose)

    5년 이내에 50%의 중증부작용을 유발시키는 선량

 

4. 방사선치료의 과정(Process of Radiation Therapy)

 1) 암의 진단 및 병기결정

 2) 치료방침(Treatment modality)의 결정

 3) 방사선치료계획 수립

 4) 모의치료(Simulation) 및 방사선 치료계획(Radiation Treatment Planning)

 5) 방사선치료(Radiation Therapy)

 6) 암환자의 관리 및 추적관찰(Management of Patients & Follow-up)

 

 1) 암의 진단 및 병기결정

 진단과정에서 시행된 X선 촬영, CT, MRI 등의 방사선학적 영상 및 핵의학적 검사를 참고하여 종양의 침범범위를 충분히 평가하고 병기를 결정해야한다.

 

 2) 치료방침의 결정(Treatment Modality)

 - 종양의 전이양상과 같은 병리학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다.

 - 방사선치료 목적을 결정한다.

 - 수술, 혹은 항암 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 여부 등을 결정한다.

 3) 방사선치료계획 수립

 종양의 해부학적 위치, 조직학적 특성, 주위 림프절 전이 가능성, 주위 정상조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사선량 및 표적용적(target volume)을 결정한다.

 

 

 ① deposits of mumor cells that are too small to be detected clinically and even

    microscopically

 ② If untreated, may elvolve to clinically apparent tumor

 ③ Doses of 4500 cGy to 5000 cGy : 90% ↑ control

 

4) 모의치료(Simulation) 및 전산화치료계획(RTP)

 모의치료는 방사선치료 시작 전에 환자의 자세와 종양조직 및 정상조직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확한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시행한다. 모의치료는 방사선치료과정 중 환자의 치료자세와 고정, 표적위치, 치료방향 등을 결정하는 초기과정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① patient positioning & immobilization

 ② Target volume delineation & dose prescription

 ③ Beam direction & shape(MLC, Block, BEV)

 ④ Dose calculation

 ⑤ Plan evaluation & improvement(DVH)

 ⑥ Plan implementation & verification(EPI)

 

5) 방사선치료(Radiation Therapy)

① 통상 주 5회, 일일선량 180 ~ 200 cGy, 2~8주간

② 치료 중 치료면적을 점차 축소시킴(shrinking field technique)

③ 방사선치료 중 정도관리(Quality Assurance)

④ Periodic verification

 - Linacgram

 -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

 - cone beam CT

 - On board Imager(OBI)

 

5. 조사영역축소법(Shrinking field technique)

 = Reduced field(RF), Cone down

 

 방사선치료과정 중에 초기(initial) 방사선조사범위보다 조사범위를 줄여서 조사하는 방법으로 치료과정 중에 정상조직을 최대한 보호하고 종양조직에 선량을 집중적으로 많이 줄 수 있다.

목록  인쇄
   
다음글 우리 병원의 호스피스 현황
이전글 방사선종양학의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