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가이드

메뉴 전체보기

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건강마당

  • 건강뉴스
  • 전문의 칼럼
  • 쥬니어건강
  • 복약정보
  • 영양정보
  • 간단한 응급처치
  • 건강정보
  • 간단한 자가진단
  • 내게 맞는 검진찾기

건강뉴스

성가롤로병원은 최선을 다합니다. 환자를 위해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 home
  • 건강마당
  • 건강뉴스
게시판 뷰페이지
뷰페이지
제목 잠자기 전 스마트폰 보나요? 우울증 위험 높여
작성일 2019-11-20 오전 10:52:26  [ 조회수 : 1607 ]
스마트폰을 하느라 잠을 습관적으로 미루는 사람은 불면증은 물론, 우울함이나 불안 등의 정신건강에도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서수연 교수 연구팀은 연구 결과, 잠자는 시간을 미루는 ‘취침시간 지연 행동’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더 우울하고 불안하며 불면증 발병 소지가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상생활에 이미 깊이 자리 잡은 스마트 기기로 인해 현대인의 생활 습관이 바뀌게 되면서, 잠을 자기 전에 동영상 등을 보거나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이로 인해 평소보다 잠을 더 늦게 자는 경우도 생기는데, 이러한 행동이 습관으로 굳어지면 만성적인 수면 부족을 일으키고 수면의 질 또한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스마트폰 하는 사람

연구팀이 최근 106명의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수면습관과 24시간 생활습관을 자세히 분석한 결과, 습관적으로 취침시간을 미루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기 3시간 전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약 4.5배, 하루 평균 1시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침시간 지연 행동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우울 수준이 약 25%, 불안 수준은 약 14%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취침시간 지연행동을 많이 하는 사람은 81.5%, 그렇지 않은 사람은 48.1%가 불면증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드러나 취침시간 지연 행동과 수면 및 심리적 문제 간의 관련성을 밝혔다.
서수연 교수는 “잠자는 시간이 습관적으로 늦어지는 것은 수면장애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를 촉발함으로써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될 위험이 있다”며 “스마트폰을 통해 미디어를 즐기더라도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아이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 수면연구학회에서 발간하는 공식 저널인 Sleep에 개제되었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

목록  인쇄
   
다음글 월요병을 극복하는 5가지 방법
이전글 갑자기 쓰러뜨리는 혈전, ‘머리부터 발끝까지’ 나타난다